Q & A
질문
서비스 운영원칙에 의해 삭제되었습니다.
게시글 정책 보기답변 14
답변 목록-
답변
2015년 2월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오바마 케어(건강보험 개혁안)’를 독려하기 위해 만든 코믹한 2분짜리 영상에 ‘욜로’라는 말이 등장한 후로 ‘욜로족’이 화제의 중심에 떠올랐다. ‘인생은 단 한 번뿐(You Only Live Once)’이라는 의미의 ‘욜로(YOLO)’는 원래 미국에서 생겨난 신조어다. 주로 대화 중 주제를 전환할 때 던지는 말이었는데, 2011년 인기 래퍼 드레이크의 노래 ‘The Motto’에 등장하며 “인생은 한 번뿐이니 작은 일에 연연하지 말고 후회 없이 즐기며 사랑하고 배우라”는 의미가 재조명되면서 무엇에도 연연하지 않고 주어진 시간을 적극 즐기는 층을 대변하는 유행어가 되었다. 높은 이자와 물가상승률을 경험했던 고성장기가 막을 내리고, 저금리·저성장·저물가가 일상이 되는 디플레이션 시대의 새로운 소비 풍속도가 욜로족의 출현인 셈이다
추천 -
답변
인생은 단 한 번뿐(You Only Live Once)이라는 말입니다
인생은 한 번뿐이니 작은 일에 연연하지 말고 후회 없이 즐기며 사랑하고 배우라는 뜻이죠
멋있지 않나요 ^^
추천 -
답변
<욜로 라이프>
'욜로'(YOLO)는 You Only Live Once의 줄임말로
'한 번뿐인 인생' 이란 의미를 가진 신조어 입니다.
욜로족의 라이프 스타일은 몇 개의 단어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미래가 아닌 지금, 소유가 아닌 공유, 물질이 아닌 경험.
이 순간의 가치를 중시하는 것이 욜로 라이프의 핵심이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639&contents_id=131586
http://mosfnet.blog.me/220952168500
참고하세요 : )
추천 -
답변
"욜로(YOLO)"라고 말하는 것을 보았다
. 젊은 사람들이 많이 쓰는 말로 욜로는 'You Only Live Once'의 약자,
한 번뿐인 인생이란 뜻이다.
캐나다 출신 가수 드레이크의 2011년 곡(The Motto)의
한 소절인 '인생은 한 번뿐이야, 이게 인생의 진리지 욜로(You only live once, that's the motto YOLO)'에서 시작된 표현이다.
이는 오바마 전 대통령이 자신의 건강보험 개혁안인 오바마케어를 홍보하는 동영상에 직접 나와 'Yolo man'이라고 하면서 유명해졌다. 2016년엔 옥스퍼드 사전에 신조어로 등록되기도 했다.
욜로는 한 번뿐인 인생이니 현재를 사랑하고 즐기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젊은이들 사이에서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할 이유가 없다,
지금 이 순간 즐거운 게 최선이라는 사고방식이 퍼지고 있기 때문에 욜로 라이프라 하고 욜로 라이프를 실천하는 이들을 '투데이족' 또는 '욜로족'이라고 부른다.
베이비부머 이후 세대들은 현재보다는 미래를 위해 고생하면서 고생의 대가를 다 쓰지 않고 저축했다.
저축의 힘 때문에 이런 살기 좋은 시대가 있지 않나 생각된다.
하지만 즐기는 것은 꿈속에서나 하고 현실이 어렵더라도 다음을 위해 검소하게 사는 것이 몸에 배었다.
저금통장에 돈이 있어도 쓸 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그것도 잘 살았다고 할 수는 없다.
추천